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척추만곡증 원인, 치료, 운동법, 교정기, 도수치료, 보조기, 병원추천
    카테고리 없음 2025. 6. 4. 16:37

     

     

     

    **척추만곡증(Spinal Curvature Disorders)**은 척추가 정상적인 S자 곡선을 벗어나 옆으로 휘어지거나 앞뒤로 과도하게 곡선이 생기는 상태를 말합니다. 대표적으로 측만증(scoliosis), 과전만증(hyperkyphosis), 과소만증(hypolordosis) 등을 포함합니다. 본문에서는 다음 항목별로 상세히 정리합니다:

    1. 원인
    2. 치료(비수술·수술)
    3. 운동법(스트레칭·근력 강화)
    4. 교정기(보조기)
    5. 도수치료(Manual Therapy)
    6. 보조기 및 보조용품
    7. 병원 추천(대한민국 내 주요 척추센터)

    1. 원인(Causes)

    1.1 측만증(Scoliosis)의 원인

    • 특발성 측만증(Idiopathic Scoliosis)
      • 치료받았거나 진단받은 측만증 환자의 약 80~85%를 차지.
      • 명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으나, 유전적 소인·호르몬 영향·근육 불균형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
      • 연령대별로
        • 성장기 청소년기(청소년 특발성 측만증, AIS)
        • 소아기 특발성(Infantile/juvenile)
        • 성인(Adult idiopathic)으로 구분, 청소년기 AIS가 가장 흔함.
    • 선천성 측만증(Congenital Scoliosis)
      • 태아 시기 척추뼈(척추분절)가 형성될 때 기형(분절, 레일, 반요추 등)이 생겨 출생 시부터 척추가 비대칭으로 자람.
      • 보통 어린 시기에 발견되며, 성장하면서 휨 정도가 급속히 진행될 우려가 큼.
    • 신경근육성 측만증(Neuromuscular Scoliosis)
      • 근이영양증, 소아마비, 척수이분증, 뇌성마비, 척수손상 등 신경·근육계를 침범하는 질환으로 인해 근육의 힘 불균형이 생겨 발생.
      • 대개 일방근육만 수축 혹은 반대 근육이 약해지며, 비틀림 축이 심해지고 진행이 빠름.
    • 성인 퇴행성 측만증(Degenerative/Adult Scoliosis)
      • 주로 50세 이상에서 척추 디스크 퇴행, 추간관절 퇴행성 관절염, 골다공증으로 인해 척추가 서서히 휘어짐.
      • 허리 통증, 다리 저림, 보행 곤란을 동반하기 쉬움.

    1.2 과전만증(Hyperkyphosis)·후만증(Kyphosis)

    • 골다공증성 압박골절(Osteoporotic Compression Fracture)
      • 노인 여성에게 많으며, 등뼈(흉추) 압박 골절로 인해 척추가 앞으로 구부러져 “곡각형 등(퉁퉁 튀어나온 등)” 형태로 진행.
    • 선천성 후만증(Congenital Kyphosis)
      • 태아 시기 흉추 분절 이상으로 척추뼈 일부가 뒤로 구부러져 출생 시부터 과도한 후만이 나타남.
    • Scheuermann’s disease (쉐우어만병)
      • 청소년 성장기 때 발생하는 흉추 후만증. 척추뼈 윗면·아랫면이 사다리꼴(fish-mouth) 모양으로 변형되며, 3개 이상 연속된 분절에서 각도 > 5°일 때 진단.
    • 근긴장저하·근긴장항진
      • 거북목·자세 불량(더블체스트 현상) 등 장시간 나쁜 자세로 인해 목·등 근육의 불균형이 생겨 진행될 수 있음.

    1.3 과소만증(Hypolordosis)

    • 허리 과소만(Flatback Syndrome)
      • 주로 수술 후(척추 전방유합술 등) 또는 선천성·퇴행성 문제로 허리의 정상 전만곡이 없거나 감소된 상태.
      • 서 있을 때 척추균형을 잡기 어려워, 무릎을 살짝 굽히거나 엉덩이를 뒤로 빼는 보상 자세를 취하게 됨.

    2. 치료(Treatment)

    2.1 비수술적 치료(Conservative Management)

    1. 관찰 및 경과 추적(Observation & Monitoring)
      • 측만증
        • 커브(Cobb angle)가 10° 미만: 보통 경과 관찰
        • 1025°: 성장기 청소년은 612개월마다 X-ray 촬영하여 진행 여부 확인
      • 과전만증·과소만증
        • 가벼운 정도: 통증·기능장애가 없으면 체형 관리 및 운동 지도로 관찰
    2. 물리 치료(Physical Therapy)
      • 도수치료(Manual Therapy)
        • 근막 이완(Myofascial Release): 단축된 근육(흉추 후만: 흉추 확장 근육, 과소만: 복부 근육 등)을 부드럽게 풀어줌
        • 관절 가동술(Mobilization & Manipulation): 경추·흉추·요추의 움직임 회복
      • 운동 치료(Exercise Therapy)
        • 척추 안정화 운동(Core Stabilization): 요추 중립 위치를 유지하며 코어(복횡근, 다열근, 다리·골반 중심부 근육) 강화
        • Kyphosis 교정 운동: 흉추 신전(확장) 운동, 흉곽 확장 스트레칭
        • Scoliosis 맞춤 운동(PSSE: Physiotherapeutic Scoliosis-Specific Exercises)
          • Schroth 방법: 척추 비틀림 방향에 따라 근육을 선택적으로 수축·이완시키고 자세를 재교육
          • SEAS(Scientific Exercises Approach to Scoliosis): 척추·골반 정렬 교정, 호흡 훈련 포함
    3. 보조기(Bracing)
      • 측만증 (특히 Cobb angle 25~45° 성장기 청소년)
        • Boston Brace: 흉요추부 중간 유지를 위한 플라스틱 패널 형태, 밤·낮 최대 23시간 착용
        • Milwaukee Brace: 전두골에서 골반까지 연결된 긴 기둥이 있는 형태, 상부 흉추 기형 시 사용
        • Charleston Bending Brace: 야간만 착용, 척추를 휜 반대 방향으로 고정해 교정 효과
      • 과전만증
        • Scheuermann’s disease 초기: 단기 수술 보조기 대신 흉추 확장 운동으로 관리
        • 심한 경우 Thoracolumbosacral Orthosis (TLSO): 등 전체를 잡아주면서 신전을 돕는 브레이스
    4. 물리치료적 기계 치료
      • 척추 견인(Traction Therapy): 흉추·요추 견인으로 디스크 압력 분산, 근육 긴장 완화
      • 전기 자극치료(TENS): 근육 통증 완화, 혈류 개선
      • 초음파 치료(Ultrasound Therapy): 조직 열 효과로 염증 해소
    5. 약물 치료(Analgesics & Supplements)
      •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등 통증·염증 완화
      • 근이완제(Muscle Relaxants): 도수치료 전·후 근긴장 완화
      • 칼슘·비타민 D·비타민 K: 골밀도 유지, 골다공증성 변형 방지
      • 관절 영양제(Glucosamine, Chondroitin): 퇴행성 변화에 보조적 도움
    6. 생활습관 개선(Lifestyle Modification)
      • 바른 자세 교육(Postural Education): 앉을 때 등받이에 허리 기대고, 모니터 높이를 눈높이에 맞추기
      • 무거운 물건 들기 주의: 척추에 불필요한 압력을 가하지 않도록 무릎을 굽혀 물건을 들어 올리기
      • 규칙적 유산소 운동: 걷기, 수영, 자전거 타기 등 척추 부담을 줄이면서 전신 근력 유지

    2.2 수술적 치료(Surgical Management)

    1. 척추 후방 유합술(Posterior Spinal Fusion, PSF)
      • 척추가 심하게 휘었거나(측만증 Cobb angle > 45~50°), 비수술적 치료에 반응 없거나 통증·신경 증상(다리 저림·근력 약화)이 동반될 때
      • 요추부터 흉추(또는 경추)까지 나사(pedicle screw)·로드 연결 후 뼈 이식을 통해 휘어진 부위를 고정
      • 장점: 급속히 진행되는 척추 변형을 정교히 교정하고, 안정성 확보
      • 단점: 출혈, 감염, 신경 손상, 유합 부위 뒤틀림(비유합) 위험, 수술 후 관절 가동 범위 감소 가능
    2. 척추 전방 유합술(Anterior Spinal Fusion)
      • 주로 앞쪽 디스크를 제거하고 기둥형 케이지(Interbody cage)를 삽입 후 유합
      • 경추·요추 전방 접근이 가능하지만, 측만증보다 퇴행성 디스크 병변에 주로 사용
    3. 비교적 경미한 변형 교정(Minimally Invasive Surgery, MIS)
      • 척추 내시경술(Endoscopic Discectomy), 소형 나사 체결로 진행
      • 회전근개 접근(Thoracoscopic approach)으로 흉추 측만 확인 및 나사 삽입해 교정
      • 장점: 절개가 작아 회복 빠름, 출혈 적음
      • 단점: 중증 변형에는 한계, 표준 개방 수술보다 교정 정도 제한적
    4. 척추 교정 및 신장술(Vertebral Body Tethering, VBT)
      • 흉추 일부를 금속 튜브로 지그재그 묶어 척추 성장기 동안 자연스럽게 펴지도록 유도
      • 장점: 척추 유연성 일부 유지, 후방 유합술에 비해 관절 가동 범위 보존
      • 단점: 성장기 환자에 한정, 장기 데이터 부족

    3. 운동법(Exercises)

    척추만곡증 환자는 척추 안정화, 근육 불균형 교정, 유연성 향상을 목표로 운동해야 합니다. 대부분 물리치료사 지도하에 시행하되, 통증이 심하거나 급성기일 땐 무리하지 않아야 합니다.

    3.1 측만증 교정 운동(Scoliosis-Specific Exercises)

    1. Shroth Method
      • 3D 교정 자세(Autocorrection): 거울을 보며 측만 방향에 따라 몸통을 비틀어 척추를 정렬
      • 호흡 훈련(Rotational Angular Breathing): 휘어진 쪽 흉부를 호흡으로 확장시켜 척추 비틀림 완화
      • 근력 강화 및 스트레칭: 척추 반대 방향의 근육(측만 축 바깥쪽 승모근·광배근) 강화, 안 쪽 근육 스트레칭
    2. SEAS (Scientific Exercises Approach to Scoliosis)
      • 능동적 자세 교정(Active Self-Correction): 일상생활 동작(앉기, 걷기) 중에도 척추 정렬 의식
      • 척추 가동성 운동(Mobility Exercises): 천천히 기울이기, 비틀기, 회전하기 등
      • 근력 강화 운동(Strengthening): 코어 근육(복횡근, 다열근), 어깨·골반 안정화 근육 강화

    3.2 과전만증·후만증 운동(Kyphosis Exercises)

    1. 흉추 확장 운동(Thoracic Extension Exercises)
      • Foam Roller Extension: 등 아래에 폼롤러를 세로로 대고, 양 손을 머리 뒤로 깍지 낀 채로 좌우로 천천히 굴려가며 흉추 뒤편 확장
      • Prone Cobra: 배를 대고 누워, 팔을 옆으로 벌린 상태에서 상체를 들어 올려 흉추 확장
    2. 흉추 가동성 스트레칭(Thoracic Mobility Stretches)
      • Child’s Pose with Thoracic Twist: 무릎 꿇고 앉아 손을 머리 위로 뻗으며 흉추 스트레칭, 한쪽 팔을 옆으로 뻗으며 상체 회전
      • Seated Thoracic Rotation: 의자에 앉아 양손을 교차해 머리 뒤에 두고 상체를 천천히 좌우로 회전
    3. 등 근력 강화(Back Extensor Strengthening)
      • Superman Exercise: 배를 대고 누워 팔·다리를 동시에 들어 올려 척추 신전근(erector spinae) 강화
      • Bridge Exercise: 등을 대고 누워 무릎 굽힌 상태에서 엉덩이를 들어 올리고 복부·둔부 근육 강화

    3.3 과소만증 운동(Flatback Correction)

    1. 요추 전만 회복 운동(Lumbar Lordosis Restoration)
      • Pelvic Tilt (골반 기울이기): 등을 대고 누워 무릎 굽힌 상태에서 골반을 뒤로 눌러 허리를 바닥에 붙이는 동작(펠빅 틸트), 그 후 반대로 낮게 들며 전만 촉진
      • Cat-Camel Stretch: 네 발 기기 자세에서 턱 당기고 등을 둥글게 말았다가(고양이), 배를 내밀며(낙타) 허리 전만 강화
    2. 코어 근력 강화(Core Strengthening)
      • Dead Bug: 등을 대고 누워 팔·다리를 교차해 들어 올린 상태에서 반대팔·반대다리를 천천히 낮췄다 올리는 운동으로 복횡근, 복직근 강화
      • Bird Dog: 네 발 기기 자세에서 대각선 방향 팔·다리 펴서 척추 중립 유지하며 대둔근·요추 근육 강화

    4. 교정기(Bracing)

    4.1 측만증 보조기(Orthosis for Scoliosis)

    • Boston Brace
      • 흉요추부를 플라스틱 패널로 압박하며, 허리 아래와 가슴 윗부분에서 척추를 잡아 펴는 구조
      • 주로 Cobb angle 25~45°, **골연령 낮음(growth remaining)**이고 진행 위험이 있을 때 사용
      • 하루 18~23시간 착용 권장, 성장 정지 후 해제
    • Milwaukee Brace
      • 목·흉추·요추를 연결하는 긴 기둥 구조, 상부 흉추 기형·상부 척추 변형 시 효과적
      • 단점: 외관 영향(긴 기둥), 불편감이 크고 생활 제한 심함
    • Charleston Bending Brace (Night-time Brace)
      • 밤에만 착용하며, 척추를 반대 방향으로 강제로 구부려 고정해 교정 압력을 가함
      • 낮에는 착용하지 않아 일상생활 불편 적으나, 각도 교정 효과가 제한적

    4.2 후만증·전만증 보조기

    • Thoracolumbosacral Orthosis (TLSO)
      • 등 전체(흉추·요추·골반)를 둘러싼 플라스틱 재질 브레이스
      • Scheuermann’s disease 등으로 흉추 과전만이 심할 때 23시간 착용하여 흉추 신전 유도
      • 전만 회복을 위해 허리 뒤쪽에 패드를 넣어 굽은 허리를 촉진하기도 함
    • Jewett Brace
      • 요추 전만 유지 및 후만 제한을 위해 복부 앞쪽과 흉추 앞쪽을 압박 없이 받쳐 주는 구조
      • 요추 전만 곡선이 너무 낮을 때 교정용으로 사용

    5. 도수치료(Manual Therapy)

    5.1 도수치료의 목표

    • 근·근막 이완(Myofascial Release): 척추 주변 근막의 유착을 풀어 유연성 증가
    • 관절 가동성 회복(Joint Mobilization): 경추·흉추·요추 추간관절의 작은 움직임을 개선
    • 척추 정렬 교정(Soft Tissue Balancing & Postural Education): 골반 기울기, 하지 길이 차이 등을 확인해 전신 균형 맞춤
    • 신경 근육 재교육(Neuromuscular Re-Education): 척추 안정화 근육(다열근, 다리·복부 근육) 활성을 돕고, Scoliosis-specific 포즈를 연습

    5.2 도수치료 기법

    • Swiss Ball Therapy: 스위스볼 위에서 골반·흉추 로테이션 운동, 코어 근육 활성화
    • 스트레칭 & 텐션 릴리스: 승모근, 다열근, 중둔근, 엉덩이 근육 등 과긴장된 부위 스트레칭
    • 척추 정렬 테이핑(Kinesio Taping): T존 테이프 붙여 경추·흉추 가동성 촉진
    • PNF(Patient Neuromuscular Facilitation): 사선 상 근육을 따라 저항을 주며 근수축 자극, 척추 정렬 유도
    • 척추 교정술(Spinal Manipulation/Adjustment): 경험 있는 물리치료사·카이로프랙터가 관절 소리를 동반한 간단한 조정(Contraindications 고려)

    6. 보조기 및 보조용품(Supportive Devices)

    1. 기본 보조기
      • 단기 보조기(Short-term Brace): 수술 전 통증 완화, 초기 물리치료 기간 동안 사용
      • 오래 착용 보조기: 장기간 척추 교정·안정화 필요 시 사용 (Boston, TLSO 등)
    2. 기능성 깔창(Orthotic Insoles)
      • 다리 길이 차이나 골반 기울기 검사 후, 깔창을 넣어 하지 길이 교정 → 골반 균형 유지 → 척추 만곡 진행 억제
      • 맞춤 제작이 이상적
    3. 쿠션류(Cushions & Supports)
      • Lumbar Roll (요추 지지대): 의자 앉을 때 요추 전만을 유지해 허리 부담 완화
      • Posture Corrector (자세 교정기): 어깨를 뒤로 당겨 흉추 후만 감소 유도, 장시간 앉아 있는 직장인에게 도움
    4. 전동 마사지 기기(Electrical Massagers)
      • 척추 주변 근육을 저주파 전류로 자극해 근긴장 완화
      • 하루 15~20분, 통증 부위 집중 사용

    7. 병원 추천(Clinics & Hospitals)

    아래는 대한민국 내 척추 만곡증(척추변형) 진료에 숙련된 상급종합병원 및 전문 클리닉입니다. 진료 편의를 위해 지역 구분을 추가했습니다.

    7.1 수도권

    1. 서울아산병원 척추센터(Asan Medical Center Spine Center)
      •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 43길 88
      • 특징: 척추변형(측만증, 후만증) 소아·청소년부터 성인까지 분야별 전문의 다수 상주
      • 진료 과목: 정형외과(척추), 재활의학과(운동·도수치료), 물리치료실, 소아정형외과(소아 측만)
      • 주요 프로그램: 맞춤형 보조기 제작, 척추 교정 운동, 최소침습 수술(MIS)
    2. 삼성서울병원 척추센터(Samsung Medical Center Spine Center)
      • 서울 강남구 일원로 81
      • 특징: 3D-프린팅 측만 교정 보조기, 로봇보조 척추수술, 도수치료 클리닉
      • 진료 과목: 정형외과, 재활의학과, 소아정형외과, 영상의학과(MRI/CT)
      • 연락처: 02-3410-0200
    3. 세브란스병원 척추센터(Yonsei Severance Spine Center)
      • 서울 서대문구 연세로 50-1
      • 특징: 소아·청소년 특발성 측만증, Scheuermann’s kyphosis 전문, 로봇수술 및 최소침습 수술
      • 진료 과목: 정형외과, 소아정형외과, 재활의학과, 물리치료실
    4. 서울대학교병원 척추센터(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pine Center)
      • 서울 종로구 대학로 101
      • 특징: 만곡 진행 위험도 계산, 유전자 검사 연구, 유럽·미국 최신 교정술 도입
      • 진료 과목: 정형외과, 재활의학과, 소아정형외과, 물리치료실

    7.2 지방권

    1. 부산대학교병원 척추센터(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pine Center)
      • 부산 금정구 부산대학로 179
      • 특징: 소아 측만·성인 퇴행성 측만·후만증 전문 진료, 맞춤형 보조기 연계 클리닉
      • 진료 과목: 정형외과, 재활의학과, 물리치료실
    2. 전북대학교병원 척추센터(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pine Center)
      • 전북 전주시 덕진구 가련산로 20
      • 특징: 성장기 척추만곡·운동 재활 프로그램, 수술 후 재활 클리닉
      • 진료 과목: 정형외과, 재활의학과, 소아정형외과
    3. 경북대학교병원 척추센터(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pine Center)
      • 대구광역시 동구 동대구로 130
      • 특징: 대구·경북권 대표 척추 교정 센터, 보조기 제작 센터, 도수치료 전용실 운영
      • 진료 과목: 정형외과, 재활의학과, 물리치료실
    4. 원광대학교병원 척추센터(Wonkwang University Hospital Spine Center)
      • 전북 익산시 서동로 344
      • 특징: 보조기 맞춤 제작, 성장 모니터링 프로그램, 침구·한방 요법 연계 클리닉
      • 진료 과목: 정형외과, 재활의학과, 한방재활의학과

    8. 결론

    1. 원인
      • 측만증: 특발성(청소년), 선천성, 신경근육성, 퇴행성
      • 후만증: Scheuermann’s, 골다공증성 압박골절, 선천성
      • 전만증 감소: 수술 후, 선천성, 자세 불균형
    2. 치료
      • 비수술: 관찰, 물리치료·도수치료, 운동(척추 안정화·교정 운동), 보조기
      • 수술: 척추 유합술(후방·전방), 최소침습 수술, VBT 등
    3. 운동법
      • 측만증: PSSE(Shroth, SEAS) 중심으로 자세 교정·호흡·근력운동
      • 후만증: 흉추 확장 스트레칭, 등 근력 강화
      • 전만 감소: 요추 굴곡·전만 회복 운동, 코어 근력 강화
    4. 교정기·보조기
      • 측만증: Boston, Milwaukee, Charleston 등
      • 후만증: TLSO, Jewett Brace
      • 전만 감소: 요추 지지대, Lumbar Roll, Posture Corrector 등
    5. 도수치료
      • 근막 이완, 관절가동술, 신경근육 재교육, Swiss Ball 및 PNF 활용
    6. 병원 추천
      • 서울아산병원, 삼성서울병원, 세브란스병원, 서울대병원 등 수도권 주요 상급종합병원
      • 부산대병원, 전북대병원, 경북대병원, 원광대병원 등 지방권 척추센터

    척추만곡증은 조기 발견과 맞춤형 비수술적 치료(운동·보조기·도수치료)가 기본이며, 진행이 빠르거나 심한 변형, 신경학적 이상 징후가 동반되면 적절한 시기에 수술적 교정이 필요합니다. 평소 바른 자세 유지, 정기적 경과 관찰, 전문 의료진의 처방에 따라 꾸준히 운동·교정기를 병행하면 증상 악화를 늦추고 삶의 질을 지킬 수 있습니다.

Designed by Tistory.